자동차 안전연구(KATRI)

설립배경 및 목적
- 교통사고에 의한 사회적 손실 절감
- 소비자보호에 의한 국민의 권익 보호
- 국내자동차관련 산업의 기술정보 지원
- 정부의 자동차관련 정책 및 기술 지원
- 제작결함조사
- 자동차안전도평가
- 자동차안전기준 국제조화
- 미래자동차 안전연구&개발
- 자동차시험 및 기술지원
- 자동차 부품관리 및 기타사업
-
- 제작결함조사
- 제작 · 조립 · 수입하여 판매한 자동차의 안전도를 확보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및 부품 자기인증적합조사, 안전결함조사, 자동차 결함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시행하고, 이와 연계된 교환 및 환불 중재를 실시합니다.
-
- 제작결함조사
- 자동차의 기능 이상, 설계의도를 벗어난 오작동 등 자동차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안전도 관련 결함여부를 확인하는 제도
-
- 교환 및 환불 중재
- 신차에서 같은 증상의 하자가 반복되어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제작사와 소비자간 중재를 통해 교환 또는 환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
-
- 자기인증적합조사
-
제작자가 자기인증하여 판매한 자동차 및 부품을 무작위로 구매하여 안전기준 적합여부를 확인하는 제도
* 자기인증제도란?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제작자 스스로가 인증하는 제도
- 제작결함조사
-
- 자동차안전도평가
- 소비자에게 보다 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제작사가 보다 안전한 자동차를 제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충돌시험 등을 통하여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소비자에게 공개하는 제도입니다.
-
- 자동차안전도평가의 필요성
- 자동차의 충돌시험 등을 통해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제작사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자동차를 제작하도록 유도
자세한 안전도평가결과는 자동차안전도평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자동차안전도평가
-
- 자동차안전기준 국제조화
- 자동차 안전기준의 국제조화를 통해 자동차 교역 국가간 기술적 무역장벽을 해소하고 제작사의 자동차 개발비용 및 시간 절감으로 국가경쟁력을 증가를 목표로 추진됩니다.
-
- 국제조화의 필요성
- 국가별 상이한 안전기준으로 인한 자동차 개발비용의 증가와 국제교역의 장애요인을 해소하고 자동차 안전도의 국제수준 향상을 위하여 국가적 차원의 국제조화추진이 필요
-
- 기대효과
-
자동차 안전도 향상으로 소비자 보호
수출 경쟁력 강화
세계 자동차 주요 생산국으로서 위상강화
국제통상마찰 해소
- 자동차안전기준 국제조화
-
- 미래자동차 안전연구&개발
-
- 자율주행차 안전연구&개발
-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 강화를 위하여 안전기준 개발을 목표로 ‘자율주행자동차 3대(주행 · 고장, 통신 · 보안, 제어권전환) 핵심 안정성 R&D를 추진
-
- 친환경자동차 안전연구 & 개발
- 택배차량용 디젤트럭의 하이브리드 개조기술 개발 및 실용화 연구와 초소형전기차 공용플랫폼 장착 및 검증기술개발 연구로 친환경자동차 기술 개발을 추진
-
- 자동차 시험 및 기술지원
-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충돌/충격 등 안전성 검증으로 안전도 향상과 자율자동차 기술개발 지원 및 안전성 검증위한 테스트베드 운용으로 자율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최적의 실험환경 운영 등을 실시합니다.
자동차 시험 및 기술지원 내용 자동차 분야 자동차 부품분야 주행시험 분야 기타 분야 충돌안전시험
충격시험
주행안전성 시험
자율주행기술 시험
환경안전시험
소음/전파시험등화/내구 시험
시계/창유리 시험
유기자재연소성 시험
타이어 및 휠 시험
브레이크라이닝 · 호스 시험
구동전동기 시험
연료전지 시험
구동축전지 시험PG(Proving Ground)
자율주행 실험도시(K-City)도로안전시설 성능시험
안전검사
건설기계확인검사
건설기계 제작결함조사 - 자동차 시험 및 기술지원
-
- 자동차부품관리 및 기타사업
- 자동차 부품에 관한 안전도 향상과 제작결함에 대해 조사를 하며, 교통안전을 위해 정부에서 위탁받은 여러 사업을 진행합니다.
자동차부품관리 및 기타사업 내용 자동차부품관리 정부위탁사업 자동차부품 관리제도
자동차부품 자기인증 제도
자동차대체부품 인증제도
자동차튜닝용품 인증제도
자동차부품 재사용 재제조 제도기술검토 및 안전검사
건설기계 형식승인 및 검사
차량방호시설 성능평가시험
택시미터 제작검정
항공장애표시등
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- 자동차부품관리 및 기타사업